식중독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 및 예방 방법
1. 식중독이란?
식품위생법 제2조에 따르면, 식품 섭취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혹은 유독물질에 의해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질환을 의미한다.
2. 식중독의 종류
식중독은 세균성(감염, 독소형), 바이러스성, 자연성, 화학성 등으로 나뉜다.
세균성 식중독은 세균의 종류에 따라 따르나, 크게는 감염형과 독소형으로 분류된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은 대부분 섭씨 4~60도 사이에서 증식하므로, 음식 섭취 시 최소한 60도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4도 이하로 보관하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동식물이나 세균 등 살아있는 세포에 기생하는 미생물에 의해 식중독에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이 있다.
자연성 식중독에는 동물성, 식물성 식중독이 있는데, 대표적인 동물성 독에는 복어의 알, 껍질 등에 있는 독과 조개독이 있다.
식물성은 버섯이나 감자의 싹이 난 녹색 부분 등에 독이 포함되어 있다.
화학성 식중독은 근래에 들어 농작물에 남아있는 농약 성분이나 식품 가공 과정 중 생기는 중금속 오염 등이 들어간다.
3. 식중독의 증상
보통의 식중독은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발현되며, 잠복기는 보통 수 시간에서 수일에 달한다.
식중독의 원인은 다양하나 증상은 대부분 비슷한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음식물 섭취 후 오한, 복통, 구토, 설사, 발열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독소, 세균이 몸에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이를 내보내기 위하여 구토, 설사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나 중독이 심한 경우 혹은 소화기관에 의하여 밖으로 배출되지 못한 경우에는, 심하면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 장애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4. 식중독 예방을 위한 3대 원칙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은,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 먹기"이다.
1) 손 씻기
식중독뿐만 아니라 여러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에 가장 기본적인 예방법은 바로 손 씻기이다.
평소에도 손을 자주 씻고, 특히 조리 전후에는 30초 이상 더 주의 깊게 씻어야 한다.
2) 익혀먹기
뜨거운 온도에서 제거되는 세균이 많으므로, 가열할 수 있는 식품들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해야 한다.
또한 이전에 가열, 조리된 식품은 먹기 전에 재가열을 해야 하며, 보관 시에는 냉장, 냉동하여 세균의 증식을 최소화해야 한다.
3) 끓여 먹기
정수기가 관리가 잘 되지 않거나, 생수 등 보관에서 문제가 있어 식중독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끓여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그 외 예방법
위의 3대 원칙 이외에도, 도마나 칼을 비롯한 조리도구와 조리대를 청결하게 관리할 것, 식자재를 사용할 때에는 항상 깨끗이 세척할 것, 냉장고의 보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것 등의 예방법이 있다.
또한 곤충 등에 의해 해로운 미생물이 옮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다.
'□ 건강한 몸을 위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보양식의 추천 종류 BEST 5 (+ 각각의 효능) (1) | 2023.06.29 |
---|---|
여름 제철 음식과 효능 알아보기(6월, 7월, 8월) (0) | 2023.06.20 |
자외선 지수와 자외선 차단 지수 알아보기 (0) | 2023.06.07 |
새벽에 자꾸 잠에서 깨는 이유 (0) | 2023.05.28 |